이미나 작가님은 그림책 <나의 동네>(2018)로 처음 만났다. 제주도의 한 소담한 마을에 자리한 책방에서 책을 펼치자마자, 첫 두어 장 만에 이 그림책에 홀려버렸다. 나비들이 화면을 한가득 채운 장면이었을 것이다. 책 속 동네는 건물이나 사람이 아니라 나비와 새, 개와 고양이, 다람쥐 같은 동물들이, 그리고 색색의 꽃과 무성한 초록의 식물들이 주인이었다. 나비처럼 연약한 존재들을 강건하고 대담한 색감과 필치로 그려낸 이 작가가 몹시 궁금해졌다. 이후로 미나 작가님의 작업을 애정과 응원으로 따라왔다. 그림책뿐만 아니라 <고양이와 친구들>(2019), <100개의 네모들>(2022), <그림 탐험 신비의 세계>(2023), <종이를 나온 그림>(2024) 전시까지 느슨하지만 촘촘히. 그사이 미나 작가님과 그림에 관한 에세이를 내기로 했고, 올초에 드디어 원고를 받았다. A4 22장 분량의 글에는 전시마다 그림마다 그에 얽힌 이야기들이 가득했다.
이 책을 어떻게 만들면 좋을까. 수원에 있는 미나 작가님의 작업실을 찾았다. 문을 열고 들어서자마자, 환한 창가에는 식물들이 푸르게 손을 뻗고 있었고, 그보다 해가 덜 드는 반대편에는 손바닥만 한 그림부터 벽을 가득 채운 커다란 화폭까지 캔버스 안에서 온갖 동물들의 눈빛이 번득이고 있었다. 이 대화는 이 그림들과, 그림에 대한 글 원고를 앞에 두고 우리가 만들 책에 관해 함께 고민하며 나눈 이야기다.
✲
소묘 와, 작업실이 정말 넓어요. 그림 사이즈가 커질 수밖에 없을 것 같아요.
미나 맞아요. 예전에는 원룸이라 손바닥만 한 그림을 많이 그렸는데 여기 와서는 큰 그림을 그리게 되더라고요.
소묘 매일 나오세요?
미나 네, 나와서 10시부터 4시까지는 작업하려고 해요. 날마다 그려요. 겨울엔 너무 추워서, 저 프레임에 텐트를 치고 그 안에서 작업을 하기도 했어요.
소묘 아이고, 그래도 멋있어요. 뉴욕 스튜디오 느낌이야. 식물도 많고, 은방울 너무 예쁘다.
미나 향이 진짜 좋아요. 맡아보세요.
소묘 꽃은 이렇게 조그마한데 향은 아찔하네요. (한참 서성이고 둘러보다 자리에 앉는다.)
제가 오늘 확실히 하고 싶은 건, 미나 작가님이 이 책으로 어떤 얘기를 하고 싶은지예요. 그게 제일 중요한 거 같아요.
미나 어떤 얘기를 하고 싶냐고 물어보시면, 음, 너무 딴 얘기긴 한데…
소묘 뭐죠? 궁금하다.
미나 사는 게 녹록지 않잖아요.
소묘 사는 게 녹록지 않다, 그렇죠.
미나 고통으로 가득 차 있고.
소묘 보내주신 글 원고에서 작업에 대한 여러 고심이 느껴지기도 하고요.
미나 그렇지만 흙 속에 있는 사금처럼 약간의 희망, 그런 긍정적인 것들이 있어요.
구체적으로 나는 이 책을 통해서 이런 얘기를 해야겠다라고 쓰지는 않았던 것 같아요. 그림을 보고 떠오르는 상상도 쓰고 그림을 그리다 든 생각도 쓰고 또 그림을 왜 그리게 됐는지, 그림에 대한 이야기들을 쓴 거죠.
그 와중에도 나는 그리는 게 참으로 좋다, 그런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것 같아요.
소묘 지금 당장 ‘이 얘기가 하고 싶어’ 해서 쓰는 경우는 사실 드물긴 하죠. 쏟아내고 보니 아 내가 이런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거구나 후에 발견되는 지점도 있고요.
미나 작가 노트에서부터 모든 글이 시작된 거긴 한데, 작가 노트를 쓸 때 그림에 대한 설명을 쓴 적은 별로 없거든요. 그 그림을 어떻게 그리게 됐는지, 그리는 과정에서 무슨 일이 있었고 무슨 생각을 했는지 적어 내려갔어요. 작업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보다는….
소묘 이거 너무 좋다. 그래서인지 에세이가 아니라 픽션으로 쓰인 글들도 있었죠.
미나 그렇게 쓴 글들은 그림에서 시작된 이야기예요. 에세이 형식으로 쓴 작가 노트는 이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 이런 일들이 있었지 하고 기억을 떠올리며 썼는데, 이야기는 완성된 그림들을 쭉 보면서 그 위로 상상을 더한 거죠.
소묘 아, 이야기를 떠올리고 그다음에 그림을 그린 게 아니라 그림들을 보면서 이야기를 지으신 거예요?
미나 네, 맞아요. 쓰여지는 과정이 다른 것 같아요.
소묘 저는 에세이도 좋았는데 이야기들도 재밌더라고요. 이 이야기들을 다른 에세이 글처럼 그냥 한두 페이지에 쭉 흘리는 게 아니라 에세이집 안에 수록된 별책부록처럼 그림책 구성으로 가져가도 좋겠다 생각했어요. 지금 그 글에 대응하는 그림만이 아니라 다른 그림들도 더해서 서사가 느껴지도록 배치하는 걸로요.
미나 그럼 색을 넣어서 별면처럼 구성하고 이야기에 맞게 그림을 더 그려도 재밌을 것 같아요.
소묘 그러면 베스트긴 한데…!
미나 근데 그 이야기들은 그림책이랑도 또 다른 것 같아요.
소묘 그래요? 그림책은 어때요?
미나 그림책은 처음부터 뚜렷하게 하고 싶은 얘기가 있었어요. 그림도 글도. 그리고 그림책을 할 때는 톤을 생각했어요. 예를 들면 <나의 동네>는 초록색으로 가득 찬 책이고 <터널>은 어두컴컴한 무채색, <새의 모양>은 분홍색, 이렇게 색깔을 중심에 두고 작업했었거든요.
소묘 그것도 너무 흥미로운 지점이다. 저희 책은 무슨 색이 될까요. 무지개? (웃음) 미나 하하, 어렵네요. 하이퍼? 이건 또 다른 세계 같아요.
소묘 아, 지금 주신 원고는 전시 작업 위주로 글이 구성되어 있는데, 그림책 이야기도 들어가면 좋겠어요. 미나 작가님 작업에서 그림책을 빼놓을 수는 없으니까요. 글 중에 그림책에 관해서 짧게 언급한 부분이 있었는데, 이게 너무 좋았거든요. |